Light
Dark
개요 처음에는 AI분야를 공부해보고 싶었다. 컴퓨터는 마법이 아니다. 코딩 공부를 하며 컴퓨터에 대해 이해하면서 결국 컴퓨터도 최소 단위로 작동하고 이 동작들이 모여서 우리가 생각하는 컴퓨터로써 기능을 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AI에 관심이 가게 된 계기도 비슷하다. 영화나 매체에서 나오는 AI는 마법같았다... Read More
개요 mysql을 먼저 접하고 JPA를 접한 케이스다보니 JPA의 개념이 낮설고 헷갈림의 연속이였다. JPA를 공부해보고 뭘 위한 것인지 공부해보려한다. JPA가 뭘까? 결국 Mysql이다. JPA에서 아무리 깊게 고민해서 코드를 짠다고 해도 결국 RDB의 쿼리로 변환되어 서버에 전송된다. 위의 한 줄을 가지고 JPA를 깊이... Read More
개요 TIL을 책처럼 쓰고싶어서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만들어서 작성했었다. 주변에서 Github로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는 얘기를 들어왔고 찾아봤을 때 꽤나 어려워보여서 미루고 미뤘었다. 그러다가 이번 기회에 한 번 해봤고 생각보다 쉬워서 글로 작성해보려한다. 어떻게? 깃허브에서는 Github Pages라는 정적 호스팅 서... Read More
개요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결제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찾아본 내용을 정리해보려한다. 한국의 온라인 결제 플로우 온라인 결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PG라는 개념이다. PG란 Payment Gateway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Gateway의 의미와 같다. 온라인 결제수단은 카드, 상품권, 계좌이... Read More
개요 처음 웹을 배울 때 배운 것은 서블릿이였다. 서블릿은 싱글톤으로, 처음 생성되었을 때 init() 메소드가 실행되고 종료될 때는 destroy()메소드가 실행된다. 여러번 서블릿을 호출했을 때 init 메소드는 한 번만 실행되고 다음 요청부터는 service()메소드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 개념만 들었을 때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