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
Dark
쿠키란? “내가 만든 쿠키~” HTTP 프로토콜은 상태가 없다. 상태를 기억하지 않는다. 즉, 한 명의 사용자가 요청을 연달아 보내도 모두 별개의 요청으로 인식된다. 이는 적은 자원으로 여러 건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하기 위함이다. 가만 생각해보면 쇼핑을 할 때 최근 본 상품이라던가 로그인 상태가 지속된다던가 하는... Read More
개요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는 키와 값으로 이루어진 딕셔너리 자료구조이다. 그 사용법이 간단하고 객체안에 객체가 들어갈 수 있고 객체안에 함수도 들어갈 수 있어서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 선언과 접근 객체는 다음과 같이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다. let obj = {name : "user1", age: "20"}; console.log... Read More
개요 로버트 C 마틴은 소프트웨어의 가치를 행위 가치와 구조 가치로 나누었다. 행위 가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말하고 구조 가치는 소프트웨어를 정말로 부드럽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마틴은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를 예로 들며 가장 빨리가는 방법은 제대로 가는 것이며 코드와 설계의 구조를 깔끔하게 만들려는 생각을 하지 않고 기... Read More
개요 모든 알고리즘 문제들은 완전탐색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비효율적인 연산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여러 알고리즘이 있는데 동적 계획법이란 그 중 가장 많은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동적 계획법이란 복잡한 문제를 여러개의 간단한 문제로 분리하여 부분의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복잡한 문제의 답을 구하는 방법이다. 동적 계획법으로 풀 수 ... Read More
개요 알고리즘이라고 하면 공식이 떠오른다. 값을 딱 넣으면 알아서 답을 내주는 수학의 수식과 같은 느낌이다. 그러나 알고리즘을 공부하다보면 경험적인 문제 풀이도 존재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대표적으로 탐색 알고리즘이 있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탐욕법이라고도 하며 문제를 단순무식하게 탐욕적으로 푼다고 해서 탐욕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현재 ... Read More